LIST
전기기초
역률 : Power Factor ; PF
-> 유효전력(실제로 사용된 전력)을 피상전력(전원에서 공급된 총 전력)으로 나눈 값으로, 조명 등 전기기기에 실제로 걸리는 전압과 전류가 얼마나 유효하게 일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의 값을 역률이라고 합니다.
역률개선 : power factor correction ; PFC
-> 역률을 개선하여 1에 가깝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역률각 (위상각)을 0°에 가깝게 함으로써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작게 하여, 피상 전력을 유효 전력에 근접시킵니다.
*콘덴서를 달아서 역률개선 한다.
시퀀스회로
"제어" - > 스위치를 달면 제어가 된다.
[ 스위치종류 ]
수동조작 수동복귀 = 전등스위치
수동조작 자동복귀 = 푸쉬버튼 PB
자동조작 수동복귀 = 과전류계전기 over load
자동조작 자동복귀 = 릴레이
[참고] - 릴레이와 자기유지회로 , MC
2. 릴레이(Relay)와 자기유지 시퀀스 회로
2. 릴레이(Relay)와 자기유지 시퀀스 회로 릴레이(Relay)에 대해 알아보고 릴레이를 이용한 자기유지회로를 공부해보자. 1. 릴레이(Relay)란? 2. 자기유지회로(self hold circuit) 1. 릴레이(Relay)란? 릴레이는
yyxx.tistory.com
7. 전자접촉기(MC) 시퀀스 회로 - Magnetic Contactor
7. 전자접촉기(MC) 시퀀스 회로 - Magnetic Contactor 전자접촉기(MC)는 앞에서 공부한 릴레이와 거의 유사하다. 릴레이처럼 코일에 의하여 접점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https://yyxx.tistory.com/182 2. 릴레
yyxx.tistory.com
[릴레이 구조&기호]
- 코일은 여자되면 전자석이 된다. 자석이 되면서 NC 접점으로 붙어있던 철판을 NO 접점으로 끌어당긴다.
L1 : 푸쉬버튼 1,2 모두 만족해야 작동함. ( 이중 동시 잠금해제 금고)
L2 : PB 둘중 하나라도 작동하면 차단됨. ( 비상 스위치 )
L3 : 둘중 하나라도 작동하면 동작함. ( 버스 하차벨 )
* PB2 추가하여 회로 입력제어
* 모터의 회전방향을 조절할때 사용할수있다.
* 두 입력 전부가 출력되면 안되고 , 먼저 들어온 입력이 출력되야 할때 사용한다.
* 두 입력 전부가 출력되면 안되고 , 나중에 들어온 입력이 출력되야 할때 사용한다.
* 최초에 PB1 버튼 누르면 -> R1(릴레이) ,T1(타이머),BZ(부저),L1~L7(램프) 전부에 전원 공급.
* 타이머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소자된다. -> 부저에 연결되어있음. -> 예를들어, 3초 타이머 종료후 부저는 3초간 울리다가 전기적 연결 끊어지므로 울리지않는다.
* 릴레이에 전원 접속되면, 여자(excitation) 되어서 접속이 유지된다.
* 버튼 PB1 이 눌려진 이후에도 릴레이에 의해 접속이 유지된다.
* PB3 버튼을 누르면 전원 접속이 끊어지므로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PLC
PLC ;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제어 장치.
XGK, XGI : 프로그램 방식의 차이
[ 참고 ] 시퀀스 릴레이 제어와 PLC 제어 장단점
시퀀스 릴레이 제어와 PLC 제어 장단점
시퀀스 제어는 공장이나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릴레이 제어 방식과 PLC 제어 방식은 가장 널리 보급된 시퀀스 제어 방식인데요, 이것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릴레
k-issu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