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 기간중 1일차 회고.
일자 : 2023.09.25 (월)
- 사내 조직 간략한 소개및 3일간 진행사항을 전달받음
배운 것 ( Today I learned )
유비씨
- https://uvc.co.kr/?param=bs04
UVC / (주)유비씨
OPC UA Foundation Member로서 국내 최초로 국제 인증 3건을 획득한 스마트팩토리 부분의 CPS 플랫폼을 개발하는 기술 중심의 기업
uvc.co.kr
- 국제 산업 표준(OPC UA)을 적용한 실시간 디지털 트윈 기반의 산업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
- 다수의 공장, 변전소 등을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
- XR(AR/VR) 협업을 통해 즉각적인 장애 대처, 현장 작업자 교육, 유지 보수 등
-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 실현을 위한 데이터 수집, 분석, 가상화까지 통합 플랫폼을 제공
OPC/UA
- https://opcfoundation.org/about/opc-technologies/opc-ua/
- https://www.opc-router.com/what-is-opc-ua/
- https://narup.tistory.com/54
- https://red-nose-cousin.tistory.com/2
- 산업용 표준 프로토콜 , Open Platform Communications Unified Architecture의 줄임말.
- OPC UA -> 클래식 OPC에서 발전된 형태
- [ 클래식 OPC ]
- 디바이스에서 현재 데이터를 소비하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와 이벤트를 제공
- OPC 사양 : 데이터 엑세스(DA), 경보 빛 이벤트(AE), 기록 데이터 엑세스(HDA)
- 인터페이스 : Microsoft의 COM 및 DCOM 기술의 기반 / HMI 및 SCADA
- 정보 교환을 위해 클라이언트-서버 접근 방식을 사용.
- [ OPC 서버 ] : 장치 프로세스 정보 소스를 캡슐화 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함.
- 단점
- OPC의 Windows 플랫폼에 종속되어 있다 [ 윈도우 환경에서만 돌아간다 ]
- OPC와의 원격 통신시 DCOM에 문제가 발생
- DCOM은 구성이 어렵고 구성이 매우 길고 구성 불가능한 시간 제한이 있으며 인터넷 통신에 사용불가
DCOM - (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 DCOM)

- [ OPC/UA ]
- 개방형 프로토콜
- 어떤 운영체제로도 포팅 될 수 있게 변경됨

- 네트워크 기능 강화
- 웹 표준을 따르는 보안 인증서로 통신 내역을 암호화
- 응용프로그램 인증서를 통해 오직 허가받은 응용프로그램만 연결될 수 있도록 보장
- 허락된 계정만 접근 가능
온프레미스 (On-premise)
- https://www.eformsign.com/kr/blog/cloud-and-onpremise/
- https://www.grownbetter.com/article/176
IT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IT 자원을 누가 관리하느냐에 따라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로 나누어진다.
온프레미스(On-premise)
-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서버에 직접 설치하고 운영하는 방식
-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식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각각 구입하고 특정 공간에 직접 인프라 환경을 구성한다.
클라우드 (Cloud)
- 필요한 IT 자원만을 선택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방식으로 구입해 사용하는 방식
1) Software as a Service (SaaS)
- 소프트웨어를 소유하지 않고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예를 들어 , Dropbox, Google Apps
2)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 가상 서버와 데이터 스토리지와 같은 데이터 자원을 빌려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예를 들어 , 넷플릭스
3) Platform as a Service (PaaS)
-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필요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 개발하고 구축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개발 도구와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예를 들어 , AWS Elastic Beanstalk, Heroku , Google App Engine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 https://www.ibm.com/kr-ko/topics/rpa
- https://www.redhat.com/ko/topics/automation/what-is-robotic-process-automation
- https://www.puzzledata.com/blog190423-2/
-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rpa_qanda.html
- 프론트 및 백오피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소프트웨어 기술
- 소프트웨어 로봇 또는 봇
- 데스크톱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많은 양의 수작업을 자동화하는 솔루션이다.
- 양식 기입, 청구서 작성과 같은 단순 작업부터 고객 서비스, 문제 해결과 같은 복잡한 작업에 이르기까지 이전에는 사람이 했던 반복적인 소프트웨어 태스크를 봇으로 자동화.
-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작업을 줄이고 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여 직원의 부담을 줄여주도록 고안되었다.
CPS ( Cyber Physical System : 가상물리시스템 )
- https://spri.kr/posts/view/21626?code=industry_trend
- https://blog.naver.com/kosmo_pr/222557352536
- https://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956
- 웹 상에서 물리적 환경 정보(데이터) 처리 결과로 현실의 시스템 혹은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고신뢰 시스템
- 컴퓨터와 현실 세계가 상호작용하여 안전 시스템 상에서 최적의 성능을 가지는 네트워크 시스템
-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연결하여, 가상세계에 구현한 최적화된 내용을 현실에 적용
- 정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이 기계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데이터 전송과 교환을 할 수 있고 인터넷에 의한 모니터링으로 실시간 제어가 가능.
- 제조 빅데이터를 관리 및 정제하고 분석.
- 실시간 동기화를 통해 현장 상황과 일치하는 사이버모델을 자체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움직입니다.
XR
- https://blogs.nvidia.co.kr/2022/06/14/what-is-extended-reality/
- https://www.autodesk.com/kr/design-make/articles/what-is-xr-kr
- https://www.kipa.org/webzine/vol461/sub04.jsp
- https://news.lgdisplay.com/2016/05/mixed-reality/
확장현실(XR)
- 다양한 몰입형 및 인터랙티브 기술 영역을 아우르는 용어
-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가상현실(VR)
- 모바일 장치, VR 헤드셋과 안경 및 기타 기술을 통해 XR에 접근할 수 있다.
가상현실(VR) - 100% 가상의 이미지를 사용하며 내가 가상의 현실로 들어간다.
- 기존에는 2D 뷰를 통해 3D 현실과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
- 만들어진 가상의(상상의) 환경이나 상황.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가능하게함.
- 디바이스를 이용해 조작이나 명령을 실행하는 등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경험을 창출한다
증강현실(AR) - 현실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 가상 이미지가 현실로.
- 실제 개체와 상호 작용하면서도 공간적으로 일관된 방식으로 가상 개체를 현실 세계로 가져올 수 있다.
- 물체의 세계로 들어가는 가상현실과 달리, 증강현실은 물체를 나 자신과 내가 속한 세계로 가져온다.
혼합현실(MR)
- 가상 세계와 물리적 세계 사이의 연속체를 말한다.
- 마치 진짜 존재하는 것처럼 실제 세계에 배치할 수 있는 홀로그램.
- https://www.youtube.com/watch?v=Hai7zZYX8D0
MES
- https://m.blog.naver.com/computermate/220475304706
- https://www.hankook-networks.com/ko/solution/smart-factory-mes.do
- 제품주문에 의한 착수에서 완성품의 품질검사까지 전 생산활동을 관리하는 시스템
- 생산현장의 각종 정보, 즉 생산실적, 작업자활동, 설비가동, 제품 품질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집계/분석/모니터링 및 생산공정을 제어함으로써 고품질의 수익 지향적생산체제를 갖추게 하는 통합 생산관리시스템
- 생산 현장에서의 생산계획의 실행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관리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제품의 품질 향상을 기대하는 고객사의 요구사항이 증대됨에 따라 기업의 업종과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고 관리측면에서의 필요사항을 고려하여 구축되는 시스템.
- 기존에 ERP(전사 자원관리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자재의 입고,출고 관리를 바코드 등으로 관리하여 원/부자재 수불을 명확히 하고 생산계획단계부터 작업지시, 공정관리, 생산 실적 등록 등을 관리단위 별로 처리하고 생산 이력관리를 통해 품질관리가 가능하며 제품 입출고 관리에서도 유무선 스캐너나 PDA 등을 활용하여 생산업무의 자동화와 현장정보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한 데이터처리의 명확화로 고객요구와 품질관리 등 작업자와 관리자의 빠른 의사결정을 돕는 시스템
- 제품주문에서 최종 제품의 완성까지 생산활동의 최적화를 위해 제조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유기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관리 지원 시스템.
Vue.js
- 작성한 markdown 내용을 첨부함.
https://github.com/kimYHgit/vue-project-weatherApp
GitHub - kimYHgit/vue-project-weatherApp
Contribute to kimYHgit/vue-project-weatherApp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VUE Framework
버전 : vue 3.0
- https://s-core.co.kr/insight/view/vue-js-3-0-%EB%AC%B4%EC%97%87%EC%9D%B4-%EB%8B%AC%EB%9D%BC%EC%A1%8C%EB%8A%94%EA%B0%80/
-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vue_js_3.html
- https://v3-docs.vuejs-korea.org/
vue 깃헙
- https://github.com/orgs/vuejs/repositories?type=all
vue 시작하기
- https://luvstudy.tistory.com/153
- https://juni-official.tistory.com/229
- https://goodteacher.tistory.com/527
Vue.js 키워드
Vue.js
- 웹 애플리케이션 JavaScript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로,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를 제공
Vite
- 빌드 도구이며, ES 모듈을 활용하여 개발 서버와 빌드 프로세스를 최적화
Vuex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Pinia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Composition API 기반
Vue Router
- 라우팅 및 네비게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라우팅 라이브러리
Vue CLI
- Vue.js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
Vue Devtools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으로, Vue.js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
Nuxt.js
- Vue.js를 사용하여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및 유니버설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Vitest
- vite 로 구동되는 매우 빠른 unit test 프레임워크
https://velog.io/@qmflf556/Vitest-%EB%A5%BC-%ED%99%9C%EC%9A%A9%ED%95%9C-%ED%85%8C%EC%8A%A4%ED%8A%B8%EC%BD%94%EB%93%9C
Composition API
- Vue 3에서 제공되는 새로운 API로, 더 구조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로직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줌.
참고
프론트엔드 날개달기: Vuejs, React 배우기 전에 꼭 알아야하는 지식
https://www.inflearn.com/course/%ED%94%84%EB%A1%A0%ED%8A%B8%EC%97%94%EB%93%9C-%EB%82%A0%EA%B0%9C%EB%8B%AC%EA%B8%B0#reviews
[Vue3] 제 1강. Vue의 역사
https://www.doptsw.com/learning/vue3
공식문서
https://v3-docs.vuejs-korea.org/
Vue 3 가볍게 훑어보기
https://joshua1988.github.io/web-development/vuejs/vue3-coming/
공식문서 vue router
https://router.vuejs.kr/introduction.html
React와 Vue
https://cntechsystems.tistory.com/152
회고 (restropective)
- 앞으로 배울게 참 많겠다..
etc...
